Loading...

[ORACLE] SQL SELECT 칼럼 가로로 합쳐서 조회

SELECT SUM(C1) , SUM(C2) , TO_CHAR(ROUND((SUM(C2) / SUM(C1)) * 100, 2), 'FM00.00') || '%' FROM ( SELECT COUNT(DINTINCT(ACNTNO) C1 , 0 C2 FROM TABLE1 WHERE DATE BETWEEN 'TO_DATE' AND 'FROM_DATE' UNION ALL SELECT 0 C1, COUNT(DISTINCT(ACNTNO) C2 FROM TABLE2 WHERE DATE BETWEEN 'TO_DATE' AND 'FROM_DATE' ) 꿀팁

프로그래머스 - SQL1

ANIMAL_INS 테이블과 ANIMAL_OUTS 테이블을 비교해 ANIMAL_INS 테이블에는 없고 ANIMAL_OUTS 테이블에만 있는 컬럼 출력 select a.animal_id, a.name from animal_outs a left outer join animal_ins b on a.animal_id = b.animal_id where a.animal_id not in ( select animal_id from animal_ins); 풀이 방법 - left outer join을 사용해 animal_outs와 animal_ins를 join (animal_outs에는 있지만 animal_ins에는 없는 칼럼까지 모두 출력) - not in 조건을 사용해 출력한 칼럼들과 animal_ins 테이블을 ..

SQL 5장 정리

집계함수 COUNT 집계함수 - 집계함수는 인수로 집합을 지정한다. - COUNT 함수는 인수로 주어진 집합의 개수를 구해 반환한다. - 집계함수는 집합으로부터 하나의 값을 반환한다. - SELECT 구에 쓰면 WHERE구에 상관없이 결괏값으로 하나의 행만을 반환한다. SELECT COUNT ( * ) FROM sample51; - 인수로 지정된 집합의 개수를 계산 (테이블 전체) SELECT COUNT (*)FROM sample51 WHERE name = 'A'; - SELECT 구는 WHERE구보다 나중에 처리된다. 따라서 WHERE구로 조건을 지정하면 테이블 전체가 아닌 검색된 행이 COUNT로 넘겨진다. 즉 WHERE구의 조건에 맞는 행의 개수를 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. SELECT COUNT..

SQL 4장 정리

INSERT - 테이블의 행 단위로 데이터를 추가해주는 명령어 INSERT INTO 테이블명 VALUES (값1, 값2...) INSERT INTO smaple41 VALUES (1, 'ABC', '2014-01-25'); - 값을 지정할때는 해당 열의 데이터 형식에 맞도록 해야함 - 명령을 실행해도 처리상태만 표시될뿐 결과를 출력하지는 않으므로 SELECT 명령을 통해 확인해봐야한다. INSERT INTO sample41 (a, no) VALUES ('XYZ', 2); - 지정한 열에 값을 넣어 행을 추가할 수 있다. - 만약 넣고 싶은 행에 NOT NULL 제약이 걸려있다면 NULL 값을 허용하지 않는다. DEFAULT - 명시적으로 값을 지정하지 않았을 경우 사용하는 초깃값을 말한다. - DEFAU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