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oading...

[ORACLE] SQL SELECT 칼럼 가로로 합쳐서 조회

SELECT SUM(C1) , SUM(C2) , TO_CHAR(ROUND((SUM(C2) / SUM(C1)) * 100, 2), 'FM00.00') || '%' FROM ( SELECT COUNT(DINTINCT(ACNTNO) C1 , 0 C2 FROM TABLE1 WHERE DATE BETWEEN 'TO_DATE' AND 'FROM_DATE' UNION ALL SELECT 0 C1, COUNT(DISTINCT(ACNTNO) C2 FROM TABLE2 WHERE DATE BETWEEN 'TO_DATE' AND 'FROM_DATE' ) 꿀팁

<JavaScript> invalid shorthand property initializer

되게 단순한 오류... 변수 설정 시 '=' 가 아닌 ':' 을 사용해 주어야 하는데 잘못 매핑을 시키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 var params = { reportToDate = reportToDate, orgCode = UserInfo.getOrgCode(), userId = UserInfo.getUserId(), batchId = 'DM020TR052TR070DM072TR110' // 가치평가 배치 목록 } 아래와 같이 수정해주면 된다. var params = { reportToDate : reportToDate, orgCode : UserInfo.getOrgCode(), userId : UserInfo.getUserId(), batchId : 'DM020TR052TR070DM072TR110' //..

프로그래머스 - SQL1

ANIMAL_INS 테이블과 ANIMAL_OUTS 테이블을 비교해 ANIMAL_INS 테이블에는 없고 ANIMAL_OUTS 테이블에만 있는 컬럼 출력 select a.animal_id, a.name from animal_outs a left outer join animal_ins b on a.animal_id = b.animal_id where a.animal_id not in ( select animal_id from animal_ins); 풀이 방법 - left outer join을 사용해 animal_outs와 animal_ins를 join (animal_outs에는 있지만 animal_ins에는 없는 칼럼까지 모두 출력) - not in 조건을 사용해 출력한 칼럼들과 animal_ins 테이블을 ..

2020. 11. 18. 22:37

Factory Method

팩토리 메서드 - 객체 생성 처리를 서브 클래스로 분리해 처리하도록 캡슐화하는 패턴 - 객체 생성 코드를 별도의 클래스/메서드로 분리함으로써 객체 생성의 변화에 대비할 수 있다. - 특정 기능의 구현은 개별 클래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. - 기능의 변경이나 선택은 해당 객체를 생성하는 코드의 변경을 초래한다. - 상황에 따라 적절한 객체를 생성하는 코드는 자주 중복될 수 있다. - 객체 생성 방식의 변화는 해당되는 모든 코드 부분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. 팩토리 메서드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한다 - 어떤 클래스가 자신이 생성해야하는 객체의 클래스를 예츨할 수 없을때 - 생성하는 객체를 기술하는 책임을 자신의 서브클래스가 지정했으면 할 때 - 객체 생성의 책임을 몇 개의 보조 서브..

2020. 11. 12. 22:56

템플릿 메서드 패턴

템플릿 메서드 패턴 - 어떤 작업을 처리하는 일부분을 서브 클래스로 캡슐화해 전체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는 바꾸지 않으면서 특정 단계 에서 수행하는 내역을 바꾸는 패턴 - 전체적으로는 동일하면서 부분적으로는 다른 구문으로 구성된 메서드의 코드 중복을 최소화할때 유용하다. - 동일한 기능을 상위 클래스에서 정의하면서 확장 / 변화가 필요한 부분만 서브 클래스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. - 예를 들어, 전체적인 알고리즘은 상위 클래스에서 구현하면서 다른 부분은 하위 클래스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 써 전체적인 알고리즘 코드를 재사용하는데 유용하도록 한다. AbstractClass - 템플릿 메서드를 정의하는 클래스 - 하위 클래스에 공통 알고리즘을 정의하고 하위 클래스에서 구현될 기능을 primitive..

2020. 11. 9. 19:19

Decorator 패턴

Decorator 패턴 - 객체의 결합을 통해 기능을 동적으로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패턴이다. - 기본 기능에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의 종류가 많은 경우에 각 추가 기능을 Decorator 클래스로 정의한 후 필요한 Decorator 객체를 조합함으로써 추가 기능의 조합을 설계하는 방식이다. - 기본 기능에 추가할 수 있는 많은 종류의 부가 기능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조합을 동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패턴이다. Component - 기본 기능을 뜻하는 ConcreteComponent와 추가 기능을 뜻하는 Decorator의 공통 기능을 정의한다. - 클라이언트는 Component를 통해 실제 객체를 사용한다. ConcreteComponent - 기본 기능을 구현하는 클래스 Decorator - 많..

2020. 10. 6. 16:55

Strategy 패턴

- Strategy 패턴이란 전략을 쉽게 바꿀 수 있도록 해주는 디자인 패턴이다. -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여러 알고리즘이 클래스별로 캡슐화되어 있고 이들이 필요할떄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동일 한 문제를 다른 알고리즘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하는 디자인 패턴이다. - Strategy : 인터페이스나 추상 클래스로 외부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알고리즘을 호출하는 방법을 명시 - ConcreteStrategy1,2,3 : Strategy 패턴에서 명시한 알고리즘을 실제로 구현한 클래스 - Context : Strategy 패턴을 이용하는 역할을 수행,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구체적인 전략을 바꿀 수 있도록 setter 메서 드를 제공 Strategy 패턴 예시 - 위의 클래스 설계는 작업시간과 초과시간을 기반으로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