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oading...
2020. 8. 17. 16:33

참조자 (레퍼런스 - reference)

다른 변수나 상수를 가리키는 방법 (별명을 붙여주는 것) 참조자를 사용하면 불필요한 &와 *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때문에 코드를 훨씬 간결하게 나타낼 수 있다. 자료형& 참조자명 = 변수명; ex) int& another_a = a; double& another_b = b; int*& another_c = &c; int main() { int a = 3; int& another_a = a; another_a = 5; std::cout

이름 공간 - namespace

이름공간이란 어떤 정의된 객체에 대해 어디 소속인지 지정해주는 것이다 같은 이름이라도 소속된 이름공간이 다르면 다른것으로 취급한다 std::cout - std라는 이름 공간에 정의되어 있는 cout을 의미한다 - std라는 이름공간 없이 cout만을 사용하면 컴파일러는 cout을 찾지 못한다 이름공간 정의 방법 ex) namespace header1 { int foo(); void bar(); } namespace header2 { int foo(); void bar(); } - 두 헤더파일 header1.h와 header2.h가 존재하는 경우 header1에 있는 foo()는 header1의 이름공간에 존재하는 것이고 header2에 있는 foo()는 header2의 이름공간에 존재한다 - 자기자신이 ..

const가 붙은 멤버함수

클래스의 멤버함수에는 함수 선언시 const 키워드를 뒤에 붙일 수 있다. ex) void show() const; 이 경우 함수에 속해있는 객체의 멤버 변수를 변경할 수 없다. 즉, 이 함수는 멤버 변수의 값을 수정하지 않는다는 뜻이다. ex)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class Num { int count; public: Num() { count = 0; } void show() const { count = 1; // 에러 발생! cout